만약 교통사고가 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드라마에서 본 최대한 강하게 나가고 어떤 상황이건 피해자인 척 하는 모습이 떠오르는데요. 현실에서는 이렇게 하면 안돼요.
이런 때 일수록 침착하고 차분하게 대응해야 하는데요. 경찰을 불러야 하는 지, 보험사를 불러야 하는 지 , 차는 갓길로 이동해야 하는 지, 그대로 두어야 하는 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차 사고가 나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건?
차 사고가 났다면 누가 낸 것을 따지기 전에 자신의 몸을 먼저 확인해야 해요. 다친 곳은 없는 지, 블랙박스가 잘 켜져 있는 지, 도로 상태가 안전한 지 확인을 해야 해요. 그리고 나서 상황에 따른 대처를 하게 되는데요.
본인이 차 사고를 냈을 때, 본인이 차 사고를 당했을 때, 사람이 죽었을 때, 가벼운 사고일 때 등 다양한 사고가 있으니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기를 바라요.
내가 차 사고를 냈다면?
- 몸 상태를 확인하고 마음을 진정시키고 블랙박스 작동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도로 안전을 확인하고 차에서 내리세요.
- 먼저 사과를 하고 상대방이 다쳤는 지 확인하세요.
- 불친절한 태도를 비치지 않고, 과실 비율을 따지려고 하지 마세요.
- 사고 차량의 사진을 가까이, 멀리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고 바닥에 스키드 마크가 있다면 같이 촬영해주세요.
- 서로 합의한 뒤 안전 확보를 위해 차량을 갓길로 이동해주세요.
- 현자에서 보험처리와 합의 중 선택해주세요. (가능하면 보험사를 불러 처리하는 걸 권해드려요,)
- 경미한 사고라면 합의를 요구하고 합의금은 상대방이 먼저 제시하도록 하는 걸 추천드려요.
- 경미하지 않은 사고라면 보험사를 부르고, 합의 내용이 마음에 안들거나 과실 분쟁이 있을 것 같다면 경찰을 불러서 해결해주세요.
내가 차 사고를 당했다면?
- 몸 상태를 확인하고 마음을 진정시킨 뒤 블랙박스 작동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도로 안전을 학인하고 차에서 내리고 상대방이 다쳤는 지 확인하고 사과해주세요.
- 불친절한 태도를 비치지 않고, 과실 비율을 따지려고 하지 마세요.
- 사고 차량의 사진을 가까이, 멀리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고 바닥에 스키드 마크가 있다면 함께 촬영해주세요.
- 서로 합의한 뒤 안전 확보를 위해 차량을 갓길로 이동해주세요.
- 보험처리를 할 지 합의금을 요구할 지 선택해주세요. (가능하면 보험사를 불러 처리하는 걸 권해드려요,)
- 보험처리를 한다면 상대방에게 현장에서 접수하도록 하고 대인(사람)과 대물(차량) 접수을 요청해주세요.
- 상대방 차량번호와 전화번호를 직접 받고 접수번호, 지불 보증서 등은 문자로 받고 현장을 이탈하세요.
- 만약 합의금을 요구하려면 합의금에 대한 내용은 적정 합의금을 알아본 뒤 추후 합의해주세요.
교통사고 발생 시 보험사와 경찰을 불러야 할까?
개인적으로 사고가 나면 보험사를 부르는 걸 권하는데요. 운전 경력은 길어도 교통사고 경험이 많은 분들은 많지 않을 거예요. 보험사에서 일하지 않는 이상 보험 지식 해박하기도 어렵고요. 단순 접속 사고도 운전자끼리 합의를 보면 뺑소니로 고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보험사를 불러 처리하는 걸 권해드려요.
차량 사고 시 차만 다치고 사람이 안 다쳤다면 경찰을 부르지 않아도 된다는 분들이 있는데요. 교통사고 이후 경찰에 신고하는 이유는 사실 [분쟁을 막기 위해서] 혹은 [큰 사고]가 대부분이라고 해요. 만약 다음 내용에 해당된다면 경찰을 불러서 해결하시길 바라요.
다만, 경찰을 통해 사고 해결을 진행하면 보험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내용들이 있는데요. 이게 귀찮다고 필요한 경우에 경찰을 부르지 않는 일은 없길 바라요.
교통사고 발생 시 차량을 이동해야 할까?
교통 사고가 발생했다고 바로 차량을 갓길로 이동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안돼요.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건 차량을 정차하고 시동을 끈 뒤 2차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인 몸을 확인한 뒤 블랙박스 영상을 확보하고 상대방의 안전을 확인하는 거예요.
그 후 차량의 상태나 스키드 마크 등을 촬영하고 증거 사진이나 영상이 확보되었으면 반드시 서로 합의를 한 뒤 갓길로 이동 주차해야 해요. 무작정 갓길로 이동하면 서로의 진술이 어긋날 수 있고 이때 증거 확보가 안되어 있으면 문제가 되기 때문이에요.
사고 후 차량을 갓길로 이동 주차하지 않으면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차량을 안 뺀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일은 없어요. 사고 차량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거나 차량을 움직이면 상황 파악이 어렵다면 그냥 두는 게 좋아요.
다만 2차, 3차 사고를 예방 해야 하는 위험한 상황이라면 차량을 이동 주차하는 걸 권해드려요.
합의를 봤는데 뺑소니라고 주장한다고?
차량 사고 후 합의를 봤다고 해도 만약을 위해 연락처를 주고 받고 즉석에서 서면 합의를 통해 사인을 받을 필요가 있어요. 경미한 교통사고라도 아무런 증거를 남기지 않는다면 추후에 상대방이 적반하장으로 “법대로 해”라고 하면 대처하기 애매해져요. 심각해지면 뺑소니가 될 수 있고 면허 취소가 되며 전과자가 되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