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으로 카드 결제까지 가능해서 요즘은 핸드폰만 들고 외출을 할 정도인데요. 그러다 보니 핸드폰으로 교통카드까지 이용하지 않으면 굳이 교통카드를 챙겨야 하더라고요.
처음 설정조차 엄청 간단하니 빠르게 설정하고 편하게 이용해보세요!
갤럭시 교통카드 사용하는 방법
- 삼성 wallet app 실행
- 우측 하단 [전체] 선택
- 하단에 [교통카드 추가] 선택
- [티머니] 선택 후 [후불] 선택 후 절차대로 진행해주세요.
위 방법대로 진행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신용카드 중 [후불교통카드] 성능이 있는 카드를 등록할 수 있어요. 이때 카드 뒷면에 [후불 교통]이라고 적힌 카드를 사용해야 하고, 가능하면 후불을 이용하는 걸 권해드리는데요.
이용에 편리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삼성페이로 선불 교통카드를 등록할 경우 수수료가 약 2.0% 발생하게 돼요. 반면 후불 교통카드는 수수료가 없고요.
- [상단 바] 내리기
- [상단 바] 한 번 더 내리기
- [nfc] 버튼 눌러 활성화 하기 (카드모드, 기본모드 상관 없음)
-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하기! (화면 꺼져 있어도 괜찮아요)
카드 등록을 했다면 위에 방법에 따라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돼요.
삼성페이(월렛) 가능한 모델이 있다고?
삼성페이는 모든 핸드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s 계열, 노트 계열, a계열. j계열, 폴더블 계열, 기타 모델까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 있는데 근래에 출시된 핸드폰은 대부분 사용이 가능해요.
- 갤럭시 S6 이상부터 사용 가능
- 갤럭시 노트 7FE 이상부터 사용 가능
- 갤럭시 A15 LTE, 24 LTE, 25 LTE 등 사용 가능 (자세한 내용 링크 참고)
- 갤럭시 J7, J5 사용 가능
- 갤럭시 폴더블 전 기능 사용 가능
- 갤럭시 점프, 퀀텀 등 기타 모델은 링크 참고
아이폰 교통카드 사용하는 방법
아이폰은 국내에서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요. 애플의 보안 정책과 nfc 연동 문제라고 하는데요. 이는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 않기에 대안을 생각해야 해요.
그래서 아이폰 유저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핸드폰에 부착하는 스마트톡이나 스티커형 교통카드, 핸드폰 케이스나 맥세이프 카드지갑, 키링형 교통카드 등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스티커형 교통카드가 가장 편해 보이는데요. 다만 스티커형은 아이폰 8 이상, ios 13 이상부터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 교통카드 구입하기
- 티머니 app 접속 후 티머니 카드 등록
교통비 20~53% 절약하는 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통합되면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K-패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K-패스는 19세 이상의 일반인 20%, 청년 30%, 저소득층 53%까지 매달 교통비를 적립해서 지급해주는데요.
일반 버스, 광역버스, 도시철도, 광역철도, 공항철도 등 대부분 사용이 가능하며 월 15회 이상 교통카드를 사용한다면 적립금이 지급되니 K-패스 대상자라면 꼭 이용하시길 바라요.
K-패스 가입하기 좋은 카드는?
카드를 삼성페이로 등록하면서 K패스까지 이용하면 편리하면서 절약까지 할 수 있는데요. 다만, 카드 가입 시 [연회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연회비가 적은 카드를 선택해야 해요.
K-패스 신용카드는 모두 연회비가 2,000원 ~ 17,000원이며 전월 실적은 20만 원 ~ 50만 원까지 있고, 체크카드는 모두 연회비가 없고 전월 실적은 20만 원 ~ 30만 원까지 있어요. 이때 전월 실적을 채우면 카드마다 대중교통 할인 혜택이 추가로 적용되는데요.
다만, 10% 정도 할인 혹은 적립이라 엄청 큰 혜택이 있는 건 아니에요. 게다가 전월 실적을 못 채운다고 K-패스 혜택을 못 받는 것도 아니고요. 그렇기에 가능한 체크카드이면서 본인이 이용하던 카드사의 카드를 가입하는 걸 권해드리는데요.
이 카드 때문에 다른 카드사에 가입하는 건 꽤나 귀찮으니까요.
- K-패스 신용카드 (IBK, 신한, 하나, 농협, 삼성, BC, KB, 우리)
- K-패스 체크카드 (신한, 하나, 삼성, IBK, 농협, KB)